fnctId=profl,fnctNo=69 게시물 검색 검색하기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담당교과목 인물소개 리스트 강우원용(Kang Woo Won Young) 직위(직급) 교수 담당교과목 일본어회화초급 / 일본어회화중급 / 인문으로 이해하는 일보과한일관계 / 일본문학과대중문화의이해 전화번호 033)649-7236 사무실 바오로관 416호 상세보기 교수소개 강우원용(Kang Woo Won Young) 메일 보내기 강우원용(Kang Woo Won Young) 직위(직급) 교수 담당교과목 일본어회화초급 / 일본어회화중급 / 인문으로 이해하는 일보과한일관계 / 일본문학과대중문화의이해 전화번호 033)649-7236 사무실 바오로관 416호 ○ 전공 일어일문학 ○ 연구분야 일본근현대문학 연구, 일본문학번역물 연구, 한일문화관계사 연구 ○ 학력 및 경력 호세이(法政)대학 대학원 일본문학전공 석사/박사과정 졸업 ○ 연구업적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노르웨이의 숲"의 한국적 수용: 스테디셀러 현상에 함의된 `포스트콜로니얼`과 `탈 포스트콜로니얼`」(2022.01), 『일본문화연구』 「1980년대 "오싱" 붐과 한국사회: 순응과 저항의 여성 서사를 호명한 한국 독자」(2021.06), 『비교일본학』 「1970년대 한국 사회의 일본문학 번역물 수용 양상: 가와바타 야스나리 "설국"의 의미」(2020.06), 『日本語敎育』 「私小說のメイドインコリア」(2020.03), 『季刊文學』 「교양강좌에서 ‘일본학’(문학/역사/사상)의 역할과 과제」(2018.06), 『비교일본학』 「이광수의 일본어작품집 『가실(嘉實)』에 투영된 ‘국민작가’의 다짐」(2016.12), 『한림일본학』 「일본문학의 수용과 변용: 이광수의 "사랑인가"와 "무정"을 중심으로-」(2015.05), 『일본학보』 「사소설과 고백의 장치들: 다야마 가타이(田山花袋)와 가사이 젠조(葛西善藏)의 경우」(2013.12), 『日本語文學』 「1960년대 초기 베스트셀러를 통해 본 일본소설 번역물과 한국 독자: 하라다 야쓰코, 이시자카 요지로, 박경리를 중심으로」(2013.11), 『일본학보』 「일본 자연주의문학과 사소설의 간격: 러일전쟁 ‘전후’의 종언을 중심으로」(2013.09), 『日本語敎育』 닫기 메일 보내기 김성혜(KIM SUNGHYAE) 직위(직급) 교수 담당교과목 일제강점기 한민족의 삶과 기억 / 다큐로 읽는 고중세사 탐구 / 근현대 개혁과 개혁가들 / 서울 600년의 시간 여행 / 인문학으로 읽는 사랑의 모든 것 전화번호 033)649-7217 사무실 바오로관 412호 상세보기 교수소개 김성혜(KIM SUNGHYAE) 메일 보내기 김성혜(KIM SUNGHYAE) 직위(직급) 교수 담당교과목 일제강점기 한민족의 삶과 기억 / 다큐로 읽는 고중세사 탐구 / 근현대 개혁과 개혁가들 / 서울 600년의 시간 여행 / 인문학으로 읽는 사랑의 모든 것 전화번호 033)649-7217 사무실 바오로관 412호 ○ 연구분야 한국 근대 정치사, 고종 ○ 학력 압구정 고등학교 졸 이화여자 대학교 학사 및 동 대학원 석사 히토쓰바시 대학 대학원 박사학위 취득 ○ 경력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학연구소, 동국대학교 대외교류연구소, 한림대학교 연구원 등 ○ 연구업적 한국근대 답도 건축물에 배치된 동물의 상징성 연구(고려대 한국학연구소, 2018) ○ 저서 재위 전기 고종의 통치 활동(2012, 선인) 닫기 김승욱(KIM, Seung-Wook) 직위(직급) 교수 / VERUM교양대학 학장 담당교과목 인간탐구 / 철학의근본문제들 / 현대의인식문제 / 사회복지와철학 / 영화와문학으로철학하기 / 창의를생각하기 전화번호 033)649-7244 사무실 바오로관 509호 상세보기 교수소개 김승욱(KIM, Seung-Wook) 메일 보내기 김승욱(KIM, Seung-Wook) 직위(직급) 교수 / VERUM교양대학 학장 담당교과목 인간탐구 / 철학의근본문제들 / 현대의인식문제 / 사회복지와철학 / 영화와문학으로철학하기 / 창의를생각하기 전화번호 033)649-7244 사무실 바오로관 509호 ○ 전공 철학 ○ 연구분야 종교철학, 초월(선험)철학, 인식론, 독일관념론철학, 철학적인간학, 사회(복지)철학 ○ 학력 독일 Bonn 국립대학교(Rheinische Friedrich-Wilhelms-Universität Bonn) 종교 철학 박사 ○ 경력 (현) 가톨릭관동대학교 VERUM교양대학 학장 (현) 가톨릭관동대학교 인권센터장 (현) 가톨릭관동대학교 VERUM교양교육연구소 소장 (전)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객원교수 (전) 인천가톨릭대학교 기획처장, 학술연구처장, 도서관장, 출판부장, 학술지편집인 (전)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소장, 겨레문화연구소 소장 (전) 인천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철학주임교수 (전)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연구교수 (전) 한국가톨릭신학학회 부회장 (전)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신학과철학 편집위원 (전) 가톨릭신학과사상학회 편집위원 (전) 한국가톨릭철학회 이사 (전) 가천대, 경인교대, 서강대, 연세대, 인천대, 중앙대 출강 ○ 연구업적 · 「신학은 어떻게 신앙을 정당화하는가? - 신학적 행위이론의 기초신학적 가능성에 관하여」(신학과철학, 2024). · 「J. G 피히테의 (神)개념과 의미-반성-초월론적 반성에 근거한 철학적 종교론의 가능성에 관하여-」(가톨릭철학, 2023). · 「의존을 포용하는 평등의 이상과 복지국가 – 롤즈의 정치이론에 대한 키테이의 의존비판에 관한 연구」(한국사회복지학, 2022). · 「경이(Staunen)와 물음(Fragen): 역사적 계시의 가능성에 관한 제일철학적 논의를 중심으로」(신학과철학, 2022). · 「칸트 선험철학의 스콜라적 수용의 맥락에서 인간의 초월 문제 – J. 마레샬과 H. 페어바이언의 논의를 중심으로」(철학논집, 2021). · 「돌봄의 사회화와 돌봄의 공공윤리」(공공정책연구, 2021). · 「‘학문론의 원리에 따른 종교론’과 ‘초월적 사유의 아포리아’ - 피히테의 초기 종교철학에 대한 이해의 시도」(헤겔연구, 2020). · 「“우주론적 신 존재 증명”과 “계시의 가능성에 관한 초월적 물음” - 한스위르겐 페어바이언의 초기 제일철학적 사유에 나타난 형이상학과 초월철학의 관계를 중심으로」(가톨릭신학, 2019). · 「궁극적 의미의 초월철학적 반성」(가톨릭철학, 2011). · 「“철학자들의 신”의 죽음. 그 의미와 전망」(가톨릭신학, 2011). · 「자유의 원리와 신의 이념: 헤르만 크링스와 토마스 프뢰퍼의 초월적 자유분석론에 관한 연구」(가톨릭신학과사상, 2010). · 「데카르트 철학의 제일철학적 지평 – 사유하는 자아와 진리의 관계를 중심으로」(누리와말씀, 2010). · 「이성의 변증성과 종교의 정초: 칸트의 비판적 종교정초 가능성에 대한 해석」(누리와말씀, 2009). · 「하이데거의 존재신론 비판과 신학-철학의 문제들」(누리와말씀, 2009). · 「칸트철학에서 “나는 생각한다”(Ich denke)의 초월적 의미」(가톨릭신학, 2008). · 「칸트와 신 존재증명: 칸트의 철학적 신학에 대한 제일철학적 성찰」(가톨릭신학과사상, 2008). · 「근대와 가톨릭신학」(누리와말씀, 2008). · 「신앙의 합리적 자기이해의 두 가지 모델: 안셀무스와 토마스」(누리와말씀, 2008). · 「J. G. 피히테와 E. 레비나스의 자유이해」(가톨릭철학, 2008). · 「해석학적 이해와 제일철학」(가톨릭신학과사상, 2007). · 「안셀무스의 신 개념에 나타난 선험철학적 의미」(중세철학, 2007). · 「교도권과 철학」(누리와말씀, 2007). · 「신학과 철학의 관계에 관한 작은 성찰」(누리와말씀, 2007). · 「현대 철학적 인간학의 의의와 한계」(누리와말씀, 2006). · 「대화편 <<파이돈>>에 나타난 이데아의 전제(Hypothesis)의 의미」(가톨릭신학, 2006). · 「J. G. 피히테에 있어서 신과 계시 문제」(누리와말씀, 2006). · 「무제약자로 향한 인간의 초월 - 모리스 블롱델의 제일철학적 사유가 가톨리시즘 안에서 갖는 의의와 한계」(가톨릭철학, 2006). · 「신학의 학문성과 형이상학」(가톨릭신학, 2005). · 「철학적 인간학의 네 가지 ‘곤혹스런’ 테제」(누리와말씀, 2005). · 「그리스도교 신앙의 제일철학적 해명에 관한 소고」(누리와말씀, 2004). [저서] · 『근거 있는 희망: 그리스도교 믿음의 철학적 해명과 그 의미』(서강대학교 리하르트 셰플러 연구소, 종교철학 총서 제2권, 2022) · Michael Seung-Wook Kim, Auf der Suche nach dem Unbedingten, das mich >ich< sein lässt – Zur Entwicklung des erstphilosophischen Denkens bei Hansjürgen Verweyen (ratio fidei 총서 제24권, 독일 Friedrich Pustet출판사, 2004). [기타 업적] · 학술발표: 「칼 라너의 “초자연적 실존범주”에 관한 소고」(칼 라너 서거 40주년 기념학술대회: 서강대학교 리하르트 셰플러 연구소 &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공동주최 2024년 11월 2일) · 연구과제: 「종교현상에 대한 근현대 철학적 체계의 구축」(한국연구재단 토대기초연구지원사업 2016.09.01.-2021.08.31.) · 학술상수상: 「2023년 한국사회복지학 최우수논문상」(사단법인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 공동학술대회 2023년 10월20일) · 학술발표: 「경이(Staunen)와 물음(Fragen): 역사적 계시의 가능성에 관한 제일철학적 논의를 중심으로」(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학술발표회 2021년 5월 27일) · 학술발표: 「칸트철학에서 “나는 생각한다”(Ich denke)의 초월적 의미」(한국가톨릭신학학회 제7회 학술대회 2008년 6월 21일) · 학술발표: 「해석학적 이해와 제일철학」(신학과사상학회 제2차 학술대회 2007년 10월 20일) 학술발표: 「J. G. 피히테와 E. 레비나스의 자유이해」(한국가톨릭철학회 제10차 학술발표회 2007년 9월 8일) · 학술발표: 「신학의 학문성과 형이상학」(한국가톨릭신학학회 제4회 학술대회 2005년 6월 23일) · 학술발표: 「그리스도교 신앙의 제일철학적 해명에 관한 소고」(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제8회 학술연구발표회 2001년 11월 13일) · 번역과제: 독일 사회법전 제11권(국민건강보험공단 용역과제, 2018: 공역) · 연구용역: 독일 장기요양보험법 조사(국민건강보험공단 정책용역과제, 2018: 공동연구) · 연구용역: 오스트리아 교육 및 학위제도에 관한 조사연구(한국연구재단 정책용역과제, 2010: 공동연구) 닫기 메일 보내기 김정남(Kim Jeong-nam) 직위(직급) 교수 담당교과목 문화역량으로서의디지털리터러시(디지털 소통 영역) / 근현대 소설로 읽는 한국도시백년사(가톨릭공유대학 교과목) / 현대문학으로 읽는 인문학 키워드12 / 지역문학으로 읽는 로컬리티와 토포필리아 / 문화연구와 창의융합교육 / 김승옥 소설로 배우는 단편소설의 모든 것 전화번호 033)649-7279 사무실 마리아관 537호 상세보기 교수소개 김정남(Kim Jeong-nam) 메일 보내기 김정남(Kim Jeong-nam) 직위(직급) 교수 담당교과목 문화역량으로서의디지털리터러시(디지털 소통 영역) / 근현대 소설로 읽는 한국도시백년사(가톨릭공유대학 교과목) / 현대문학으로 읽는 인문학 키워드12 / 지역문학으로 읽는 로컬리티와 토포필리아 / 문화연구와 창의융합교육 / 김승옥 소설로 배우는 단편소설의 모든 것 전화번호 033)649-7279 사무실 마리아관 537호 ○ 전공 국어국문학(현대문학) ○ 연구분야 한국 현대소설, 한국 현대시, 문학비평 등 문사철을 포괄하는 인문학 제분야 ○ 학력 한양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졸업(문학박사) ○ 경력 2012.03.01 ~ 현재: 가톨릭관동대학교 교양과 재직 2005.11.01 ~ 2006.10.31 고려대학교 박사후(Post-Doc) 연구원 2004.09.01 ~ 2012.02.2: 강릉원주대학교 강사 2002.03.02 ~ 2012.02.28: 강원대학교 강사 2002.09.01 ~ 2006.02.28: 한양여자대학교 강사 2001.03.01 ~ 2003.08.31: 한양대학교 강사 ○ 연구업적 「생의 비참을 감각하는 프롤레트쿨트―김기진의 192-30년대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91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23. 9. 「지하련 소설의 메타-정치성 연구―‘남성됨-정치’의 신화를 내파內破하는 서사 전략」, 『현대소설연구』89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23. 3. 「이북명 소설에 나타난 노동 현실 연구―사회적 상황과 노동 현실의 변화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121호, 한국언어문학회, 2022. 7. 「프로소설에 나타난 미학의 정치성 연구―자크 랑시에르의 문학의 정치 개념을 바탕으로 」, 『현대소설연구』85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22. 3. 30. 「이효석 소설에 나타난 도시성과 사회사적 맥락」, 『현대소설연구』83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21. 9. 30. 「부르디외의 상징폭력과 1950년대 上京人의 소외의식―戰後 서울의 표징으로서의 최일남의 「서울의 초상」읽기」, 『비교한국학』29권 1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21. 4. 「1980년대 서울 위성도시의 장소성과 일상성의 문제」―양귀자 연작소설 『원미동 사람들』을 중심으로, 『시민인문학』39호,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8. 「1960년대 서울의 도시성과 사회적 전유의 문제」―박태순의 196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제67집, 한민족문화학회, 2019. 9. 「도시 주거공간의 비장소성과 단자적 의식의 문제」―최인호의 「타인의 방」과 채영주의 「도시의 향기」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제65집, 한민족문화학회, 2019. 3. 「한국적 모더니티와 ‘추방자들’의 세대론적 특성」―윤대녕의 『피에로들의 집』에 나타난 유사 가족의 세대현상을 중심으로, 『비교한국학』제26집 2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8. 8. 「정이현 소설에 나타난 도시 생태학과 윤리학」―소설집 『오늘의 거짓말』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기술』제24호, 단국대학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2018. 2. 「김중혁 소설에 나타난 도시성 연구」―『1F/B1 일층, 지하 일층』에 나타난 도시 문명의 조건, 『한민족문화연구』55집, 한민족문화학회, 2016. 11. 「강릉단오제 관련 설화와 한국 현대 소설」―모티프의 수용과 변용 양상을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49집, 한민족문화학회, 2015. 2. 「도시 재개발 문제의 소설적 대응에 관한 연구」―‘용산참사’ 소설의 법?국가?종교 담론을 중심으로,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14집 1호, 원광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6. 30. 「근대문학의 종언과 한국문학」―가라타니 고진(柄谷行人)의 근대문학 종언론 다시 읽기, 『인문학연구』17집, 관동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2. 「朴寅煥 詩의 모더니티와 詩史的 意味」,『어문론집』제48집, 중앙어문학회, 2011. 11. 30. 「소설과 미디어 환경에 관한 연구」―미디어 환경의 소설적 형상화와 기법적 수용의 문제, 『현대소설연구』제32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06. 12. 30. 「90년대 여성 시인의 현실인식과 기법」―변종의 시학, 그 위반의 전략, 『한국문예비평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05. 8. 30. 「제도로서의 문학과 소설의 가치」―구효서의 〈영혼에 생선가시가 박혀〉, 〈子公, 소설에 먹히다〉를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26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05. 6. 30. 「다매체 시대, 소설의 장르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현대소설연구』22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04. 6. 30.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예술관 연구」, 『국어국문학』133, 국어국문학회, 2003. 5. 30. 「김승옥 소설의 시공간 구조 연구」, 『한국언어문화』21집, 한국언어문화학회, 2002. 6. 30. ○ 저서 『시철학 산책―시의 세계, 철학의 대지』, 이숲, 2023. 12 『하루 종일 슬픔이 차오르길 기다렸다―시인수첩 시인선66』, 여우난골, 2022. 12. 『도시는 무엇을 꿈꾸는가―근현대 소설을 통해 본 한국 도시 연대기』, 경진출판, 2022. 1. 『현대소설의 이해』, 경진출판, 2020. 8. 『비평의 오쿨루스』―우리 시대의 시와 문화에 관한 에세이, 경진출판, 2019. 10. 『현대문학으로 읽는 인문학 키워드 12』, 작가와비평, 2018. 2. 『아직은 괜찮은 날들』―김정남 소설, 다이얼로그, 2017. 11 『1990년대 문화 키워드 20』, 문화다북스, 2017. 2 『여행의 기술 ―Hommage to route7』―김정남 장편소설, 작가정신, 2013. 12. 5 『그대라는 이름』―김정남 평론집, 작가와비평, 2013. 8. 30 『잘 가라, 미소』―김정남 소설집, 삶창, 2012. 9. 19. 『꿈꾸는 토르소』―김정남 평론집, 작가와비평, 2011. 7. 20 『그 여자의 방』, 한국소설가협회, 2011. 5. 5 (공저) 『숨결』―김정남 소설, 북인, 2010. 6. 24 『2009 젊은소설』, 문학나무, 2009. 2. 16 (공저) 『폐허, 이후』―김정남 문학평론집, 문학의전당, 2008. 9. 5 『2007 신춘문예 당선작품집』, 한국소설가협회, 2007. 1. 30. (공저) 『시지프의 운명』, 새미, 2005. 9. 10. 『주변인의 삶과 문학』,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5. 7. 28. (공저) 『한국 소설과 근대성 담론』, 국학자료원, 2003. 8. 『이호철 소설 연구』, 이호철 전집 7, 새미, 2001. 3. (공저) ○ 기타업적 2022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 2022. 9. 30.(『도시는 무엇을 꿈꾸는가―근현대 소설을 통해 본 한국 도시 연대기』) 2021년 『강원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시인, 필명: 김겸) 2014년 세종도서 문학나눔 선정, 2014. 11. 28. (장편소설 『여행의 기술―Hommage to route7』) 2012년 4분기 우수문학도서 선정, 2012. 12. 14. (소설집 『잘 가라 미소』) 제1회 김용익 소설 문학상 수상, 2010. 10. 1(소설집 『숨결』) 2008년 문예진흥기금 예술창작 및 표현활동 지원 부문 선정, 2007. 12. 28. 2007년 『매일신문』 신춘문예 소설 당선(소설가) 2002년 『현대문학』 신인추천 평론 당선(문학평론가, 필명: 김겸) 닫기 메일 보내기 이민경(Min-Kyoung Lee) 직위(직급) 교수 담당교과목 세계사가 기억하는 인물탐구 / 세계사 키워드로 읽다 / 박물관ㆍ미술관과 함께하는 역사여행 / 역사,자연을만나다 / 역사를품은여성들 전화번호 033)649-7289 사무실 마리아관 529호 상세보기 교수소개 이민경(Min-Kyoung Lee) 메일 보내기 이민경(Min-Kyoung Lee) 직위(직급) 교수 담당교과목 세계사가 기억하는 인물탐구 / 세계사 키워드로 읽다 / 박물관ㆍ미술관과 함께하는 역사여행 / 역사,자연을만나다 / 역사를품은여성들 전화번호 033)649-7289 사무실 마리아관 529호 ○전공 서양사 ○연구분야 서양근현대사,영국사,영제국사,이주문화사,여성사,예술사상사 ○학력 서강대학교, 서양사 전공 Ph.D Louisiana State University, Ph.D.수료 Johns Hopkins University, M.M Indiana University, M.M 서울대학교, B.M ○경력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시간강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양학부 시간강사 서강대학교 기초교육원(교양학부) 사학과 시간강사 육군사관학교 군사사학과 시간강사 서경대학교 겸임교수 동국대학교 시간강사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시간강사 ○연구업적 ◎박사학위 논문 '빅토리아 중기 여성들의 문필영역과 공적 출현:랑엄 플레이스 서클」,서강대학교, 2014. 6. 30 ◎연구논문 「빅토리아 중기 여성 담론의 공적 출현:『잉글리시 우먼스 저널』을 중심으로」,『영국 연구』31 (2014. 6): pp. 167-203. 「빅토리아 후기 여성운동의‘디딤돌’:랑엄 플레이스 서클」,『서양사학연구』31 (2014. 6): pp. 155-195. 「여성 이민 담론을 통해 본19세기 중엽 영국 식민지로의 여성 이민」,『영국연구』32 (2014. 12): pp. 133-167. 「영제국 식민지 이민의 확산과 영국인의 정체성」,『서양사학연구』35 (2015. 6): pp. 61-89. 「식민지 이주 정착민과 영제국: 19세기 오스트레일리아를 중심으로」,『Homo Migrans』12 (2015. 6): pp. 25-46. 「세기 전환기 아동이민(Child Emigration):제국의 구원인가?」,『영국연구』34 (2015. 12): pp. 43-78 「빅토리아 시대 이민을 통한‘아동구원 증후군’의 기원」,『서양사론』129 (2016. 6): pp. 224-262. 「영제국 식민지 초기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과 영국인 정착민:바바라 다우슨의『구경꾼의 눈으로』를 중심으로」,『영국연구』35 (2016. 6) : pp. 99-139. 「19세기 영국에 온'1848'프랑스혁명:낭만주의적Drama giocoso?」,『서양사론』131 (2016. 12) : pp. 292-323. 「광기와 민족주의 사이에서: 19세기 전환기 영국의 극장 폭동」,『영국연구』37 (2017. 6) : pp. 185-229. 「『런던 사람들의 역사』(A People’s History of London)를 통해 본 이주민들의 런던과 현재」,『도시인문학연구』제9권2호(2017. 10) : pp. 133-160. 「빅토리아 시대‘여성과 일’:『알렉산드라 매거진』(Alexandra Magazine)분석」,『영국연구』38 (2017. 12) : pp. 129-155. 「20세기로의 전환기 영국에 불어온 러시아 바람:디스토피아의 역설인가?」,『서양 역사와 문화 연구』46 (2018. 3) : pp. 155-193. 「스코틀랜드인에서 오스트레일리아 스코틀랜드인으로:스코틀랜드인들의 오스트레일리아 이민과 역사연구』,『영국연구』39 (2018. 6) : pp. 121-150. 「오스트레일리아 여성참정권 운동과 여성운동의 정치학」,『서양사연구』59 (2018. 11): pp. 121-156. 「19세기 전반 영제국 식민지 오스트레일리아로의 이민과 이민여정의 사회상」,『서양사론』141 (2019. 6): pp. 136~165. 「시네마 문화를 통해본 전간기 영국문화의 상(像)」,『서양사론』143 (2019. 12): pp. 266~289. 「오스트레일리아의 부정적 문화유산(Negative Heritage)과 다크 투어리즘(Dark Tourism)의 기억:태즈메이니아(Tasmania)지역을 중심으로」,『영국연구』43 (2020. 06): pp. 193-230. 「키위(Kiwi)’로 가는 길목의‘카키(Khaki)’열풍3-남아프리카 전쟁과 뉴질랜드의 분리와 통합」,『서양사론』147호(2020. 12): pp. 36-68. 「변화를 모색하는 이민사 연구- 19세기 전반 영국인들의 오스트레일리아 이민을 돌아보며」,『영국연구』45호(2021, 6), pp. 247-275. 「뉴질랜드 독립의 변곡점에서 본 시론(時論)의 기억- 20세기 전환기 연방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의 분리와 통합」,『서양사론』150호(2021. 9): pp. 171-208. 「「에릭 홉스봄의『저항과 반역 그리고 재즈』: ‘역사를 일구는 사람들’을 조명한 역사가의 궤적」,『영국연구』47호(2022. 6): pp. 259-293. “British Emigration to Colonial Australia in the First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Theory and Practice,”『사총』107호(2022. 9): pp. 185-230. 「독립의 기억과 기념의 장소:말레이시아 메르데카 광장(Merdeka Square)」,『역사학보』256집(2022. 12): pp. 533-570. 「영제국 자치령 군인 정착민들의 정체성 : 캐나다의 '스코틀랜드성(性)을 중심으로」,『영국연구』49,(2023.06): pp. 187-232. 「윌리엄 스테드(W. T. Stead)의 논평을 통해 본20세기 전환기 세계의 미국화」,『史叢』111 (2024. 01): pp. 431-464. 「영제국의 ‘이전된 아카이브(Migrated Archives)’, 아카이브의 탈식민?」, 『영국연구』 51 (2024. 06): pp. 233-262. ◎기타 기고문 및 비정규논문 「소중한 주변을 돌아보며:송병건,『산업재해의 탄생』(도서출판 해남, 2015)」,『영국연구』36 (2016, 12) : pp. 333-339. 「18세기 런던으로의 여행: M. Dorothy George,London Life in the Eighteenth Century(Academy Chicago Publisher, 2000)」,『영국연구』37 (2017, 06) : pp. 311-318. 「역사학의 역사-20세기 영국사 연구의 발자취기획연재:다문화,다원화 조류와 발맞추는 스코틀랜드인 이민사 연구」,『교수신문』,2019.07.01. 「제국,옛 선율에 붙여진 정체성들의 산물: Jane Samson,The British Empire(Oxford University Press, 2001, rept. 2009)」,『서양사론』142 (2019. 09): pp. 254-262. 「잉글랜드에서 대영국으로:맥락과 해석의 안경,존 로버트 실리 저(이영석 역),『잉글랜드의 확장』(나남,2020)」,『서양사론』146 (2020. 09): pp. 257-262. 「아일랜드 자유국가의 탄생을 견인한 마이클 콜린스Michael Collins」,『월간 독립기념관』414 (2022. 08): pp. 30-31. ◎ 저서 및 역서 문화사학회,엮음,『기억은 역사를 어떻게 재현하는가』(서울:한울, 2017. 8) 수록논문:「코먼웰스 오스트레일리아의 기억에서 타자화된 원주민들」, pp. 175-195. 영국사학회 엮음,『역사학의 역사』(파주:아카넷, 2020. 5) 수록논문:「백파이프와 킬트 문화의 이민」:스코틀랜드인 이민의 역사와 연구」, pp. 311-327. 한국교양교육학회 편,『자유교육의 전개:독일편,교양교육총서1』(서울:리버럴아츠, 2022. 11) 수록 번역문:「『독일의 대학들』중 요약,리뷰,부록(1905,보데」, pp. 85-102. ○자격증 및 연구비 수혜 ◎ 한국연구재단 학문후속세대 지원사업 "기록,기억 그리고 기념을 통해 본19세기 스코틀랜드인들의 영제국 식민지 이민–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를 중심으로"(2017) ◎ 한국연구재단 학문후속세대 지원사업 "19세기 영제국 식민지 오스트레일리아에서의 스코틀랜드 이민자 가족 공동체와정체성의 형성"(2018) ◎ 한국 연구재단 신진연구자 지원사업 "영국인 이민자들의 문화를 통해 본 뉴질랜드의 분리와 통합"(2020) ◎ 자격증 중등학교2급 정교사 자격증 ○ 학회 및 학술대회 활동 ◎ 학회 임원 활동 영국사학회 총무이사,연구윤리위원회위원,학술이사,대외협력이사 한국서양사학회 편집위원,부편집위원장,편집위원장 ◎ 학술대회 활동 -1998년2월13일American Musicological Society Southern Chapter Meeting,Mississippi University, Oxford Campus발표 -논문“Horn Motifs in the Piano Music of the Viennese Classics: Analysis of a Musical Topos” 2013년11월2일:영국사학회181회 정례발표회 발표 -논문「빅토리아 중기 여성들의 문필활동을 통한 공적 출현:랑엄 플레이스 써클의 활동을 중심으로」 2014년12월19일~20일:창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다문화진흥원 주관“다문화 사회와 시민성:탈경계 시대의 국민국가와 이주자의 권리”학술대회 토론 2015년2월9일~10일:이민인종 연구회 주최(중앙대학교) “이주,통합,정체성”상반기 워크샵 발표 -논문 「영제국주의의 확산과 식민지 이민을 통해 본 영국인의 정체성」 2015년4월25일:영국사학회 주최(단국대학교) “영국 역사 속의 영국의 정체성”제15회 전국학술 대회 토론 2015년10월25일:영국사학회193회 정례발표회 발표 –논문「세기전환기 어린이 이민:제국의 구원인가?」 2016년2월27일:영국사학회195회 정례발표회“영국의 노예무역 억제 외교정책”토론 2016년12월3일:한국서양사학회,한국프랑스사학회,영국사학회 주최 제11회 전국서양사연합학술대회(이화여대) “브렉시트와 유럽 그리고 세계”발표 -논문「19세기 영국에 온'1848'프랑스혁명:낭만주의적Drama giocoso?」 2017년6월10일:제17회 영국사학회 전국학술대회겸 영국사학회-호남사학회 연합학술대회“역사속의 광기와 일탈”발표 -논문「광기와 민족주의 사이에서: 19세기 전환기 영국의 극장 폭동」 2017년4월21일:건국대학교 이주·사회 통합연구소/호주·뉴질랜드 한인 연구팀 공동학술대회- “호주한인과 중앙아시아 출신자의 이주의 동학”토론 2017년12월2일:러시아 혁명200주년 기념 제12회 전국서양사연합학술대회(한국외대)발표 -논문「20세기 전환기 영국에 불어온 러시아 바람:디스토피아의 역설인가?」 2019년2월23일:영국사학회209회 정례발표회 토론 -논문“Envisaging an Independent Future: the Establishment of South Australia’s National Gallery in the 1880s” 2019년8월24:영국사학회211회 정례발표회 발표 -논문“British Emigration to Colonial Australia in the Mid-Nineteenth Century - A Panorama of Theory and Practice” 2020년2월29일:영국사학회213회 정례발표회 토론 -논문“19세기 영국의 아일랜드 이민자들의 이질성 문제” 2020년10월30일:제63회 전국 역사학대회–“역사상의 사회갈등과 통합” -서양사부 발표 -논문 「‘Kiwi’로 가는 길목의‘Kaki’열풍–남아프리카전쟁과 뉴질랜드의 분리와 통합」발표 2020년11월26일:서강대 연세대 이화여대3대학원 공동세미나:한국과 동아시아에서의 기억의 정치 강연 -강연 주제“공동의 기억과 유산:영제국 식민지 오스트레일리아의Negative Heritage” 2021년12월04일:제16회 서양사연합학술대회 및 영국사학회 제219회 정례발표회 토론 -논문 「19세기 말 자전거 복장 논란과 여성의 대응」토론 2024년5월10일: 2024년 「해방공간에서 분리와 통합」 공동연구팀-분리통합연구회 공동학술회의 - ‘분리와 통합의 정치 : 국제비교’ 발표 -논문 「분리와 통합의 시론(時論) : 20세기 전환기 연방 오스트레일리아 구성과 뉴질랜드의 독립」 발표 닫기 메일 보내기 장혜진(JHANG Hyejin) 직위(직급) 교수 담당교과목 동서양문명을만난일본역사이야기 / 일본을움직인역사인물과사건 전화번호 033)649-7974 사무실 창조관 910호 상세보기 교수소개 장혜진(JHANG Hyejin) 메일 보내기 장혜진(JHANG Hyejin) 직위(직급) 교수 담당교과목 동서양문명을만난일본역사이야기 / 일본을움직인역사인물과사건 전화번호 033)649-7974 사무실 창조관 910호 ○ 전공 일본사 ○ 연구분야 일본 근세·근대사, 일본 근세·근대 대외관계사, 한일관계사, 일본문화 ○ 학력 한양대학교대학원 일어일문과 문학석사 졸업 일본 와세다대학 문학연구과(일본사) 문학박사 졸업 ○ 경력 와세다대학 문학연구과 외국인연구원 일본 와세다대학 총합인문과학연구센터 조수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연구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년도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 박사급연구원 가톨릭관동대학교 교양과 초빙교수 한양대학교 외 강사 ○ 연구업적 ○ 저서 [공역서] ’금강산선 금강산 전기철도‘, 강원문화연구소(2022) ‘사사종교 : 1911 조선총독부 문서’, 집문당(2018) ‘종교에 관한 잡건철 : 1906-1909 대한제국시기 한국통감 부 공문서’(영인본 번각), 집문당(2016) ‘국역 『종교에 관한 잡건철』 : 1906-1909 대한제국시기 한국통감부, 집문당(2016) 닫기 메일 보내기 정인혁(Jung, Inhyouk) 직위(직급) 교수 담당교과목 범죄와 사건으로 읽는 고전문학 / 담바고 이야기 : 기호품의 문화적 이해 / 동아시아 고전소설 속 한국인의 귀신관과 생사관 / 다모와 추노 이야기 : 농경문화와 '쌀'문화 / <춘향전>의 다양한 버전 읽기 전화번호 033)649-7743 사무실 바오로관 401호 상세보기 교수소개 정인혁(Jung, Inhyouk) 메일 보내기 정인혁(Jung, Inhyouk) 직위(직급) 교수 담당교과목 범죄와 사건으로 읽는 고전문학 / 담바고 이야기 : 기호품의 문화적 이해 / 동아시아 고전소설 속 한국인의 귀신관과 생사관 / 다모와 추노 이야기 : 농경문화와 '쌀'문화 / <춘향전>의 다양한 버전 읽기 전화번호 033)649-7743 사무실 바오로관 401호 ○ 전공 한국고전산문 ○ 연구분야 한국고전산문을 주 텍스트로 한국인의 정체성을 확인, 확립하기 위해 문학 속 다양한 문화적 양상을 통섭 및 융합적 방법으로 이해하고자 합니다. ○ 학력 서강대학교 국어문학과 졸업, 동대학원 석, 박사 졸업, 문학박사 ○ 경력 전북대학교 쌀ㆍ삶ㆍ문명 연구원 HK연구교수 가톨릭관동대학교 VERUM교양대 교양과 ○ 연구업적 <병리학적 상상력과 고전산문 인물 연구 시론>, 『어문연구』196호, 2022 <‘고딕’으로서의 숙영 서사 연구>. 『판소리연구』 52권, 2021 <영웅소설의 ‘천명’ 담론 연구>, 『동악어문학』 85, 2021 <아브젝트 예술로서의 <변강쇠가> 연구>, 『여성문학연구』 52호, 2021 <주변화된 남성성과 가부장제의 균열>, 『한국고전연구』52권, 2021 <담배 담론 일고>, 『한국고전연구』43권, 2018 <<김안국>의 정체성 확립의 변증법>, 『한국고전연구』41권, 2018 <소문과 배제의 윤리 : <은애전>을 대상으로>, 『고소설연구』 44권, 2017 <초점화focalization를 통한 주제 교육 연구 : 최인호의 <타인의 방>을 대상으로>, 『교과교육학연구』 19권 4호, 2015 외 다수. ○ 저서 『조선후기 전계 단형서사체 연구 : 조선후기 지식인의 정체성 찾기』, 한국학술정보(주). 2009 - 공저 『한국 고소설 연구의 쟁점과 전망』, 보고사, 2011 『한국 고소설 강의』, 돌베개, 2019 『아방가르드 고전소설 : 고전소설의 경계를 넘는 시선』, 소명출판, 2021 외 닫기 이윤일 직위(직급) 명예교수 담당교과목 현대철학산책 전화번호 사무실 상세보기 교수소개 이윤일 메일 보내기 이윤일 직위(직급) 명예교수 담당교과목 현대철학산책 전화번호 사무실 닫기